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5

읽기 (독서) 영역 평가 방법 읽기 전, 중, 후 활동을 마쳤다. 즉, 읽기 (독서)에 대한 교육이 모두 끝난 것이다. 그렇다면 이다음, 무슨 활동이 이어져야 할까? 바로 평가 활동이다. 평가라고 하면 마냥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기 쉽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평가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열을 가르는 활동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초등학교 읽기 영역에서의 평가는 주로, 학생들의 성장 정도에 대한 평가, 독서 과정을 성실히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결과를 아예 평가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다. 과정 중심 평가에서는 이전에 얘기했던 바와 같이, 결과 또한 중요하게 다룬다. 따라서 만약 지식적 측면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수업이었다면, 정답과 오답을 골라내는 객관식 문제 또한 평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022. 8. 16.
과정 중심 독서 지도 독서는 교육계에서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는 분야 중 하나이다. 독서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서, 해독의 기본이 되는 ‘언어’ 영역을 다루는 국어 교육은, 독서에 매우 큰 관심을 둘 수밖에 없다. 국어 교육계에서는 학생들을 위한 많은 독서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독서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성인이 되어서까지 독서를 하게끔 할 것인지 즉, 어떻게 하면 평생 독자를 길러낼 수 있는지를 국어 교육은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관심 속에서 고안된 독서 방법의 하나가 바로 과정 중심 독서 교육이다. 과정 중심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이 단어의 반의어를 살펴보면 된다. 과정의 반의어가 무엇일까? 바로 ‘결과’다. 과정 .. 2022. 8. 16.
읽기 과정 모형 읽기 활동은 고차원적인 사고력이 있어야 하는 활동이다. 단순히 글자를 소리 내 따라 읽을 줄 안다고 해서, 읽기를 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읽기라는 것은 그 글자의 음가를 알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그 글자와 단어의 조합이의미하는 바를 알고, 전체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읽기 능력은 모든 학문에서의 기초 기능으로 작용한다. 학문은 대부분 언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언어의 의미를 읽어낼 줄 모른다면, 그 어떤학문에도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히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특히 국어를 기반으로 한 읽기 능력은더욱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초등 국어 수업에 있어서 읽기 부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 또한 마찬가지이다. 모든 학문과 생활의 기초가 되기 때.. 2022.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