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영어 교과 교육론8

8. TBLT 교수법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 안녕하세요, 드디어 마지막 교수법 소개 시간입니다.오늘은, 의사소통 교수법의 한 갈래이자,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나온 교수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바로 TBLT 교수법입니다. Task-Based Language Teaching의 줄임말이자, 한글로 직역하면 과업 중심 교수법입니다. ALM에서 말했듯이 대시바가 붙어있다면, 그 단어는 한 쌍으로 봐야 합니다. 둘이 같이 붙어 있어야 효과를 낸다는 말이지요.이 교수법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것은 Task-Based입니다. 과업을 기본으로 깔고 간다는 말이지요. 말 그대로 모든 학습 과제는 ‘과업’ 형태로 주어집니다. 여기서 말하는 과업이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거대한 목표, 하나의 대단한 성과, 프로젝트, 나라의 국운이 걸린.. 2024. 11. 6.
7. CLT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안녕하세요. 마지막 두 개의 포스팅만 앞두고 있습니다.현대 영어 교육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최신 영어 교육법의 근본인, 의사소통 교수법입니다.결국,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것은 소통하기 위해서,나의 의사를 다른 언어를 가진 사람들한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깨달은 많은 학자들은,이제 본격적으로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정말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학습을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그래서 만들어진 의사소통에 기반한 교수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첫 번째로 만들어진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 대해서 배워볼 것입니다.이름에서도 바로 드러나죠? 정말로 ‘의사소통’ 하나에만 핵심을 두고 만들어진 체계적인 교수법입니다. 이 교수법은 다른 교수법들과 달리, .. 2024. 11. 5.
6. WLA 교수법 (총체적 교수법) 가-장 최근에 발생한 교수법입니다.오늘은 초등 영어 교수법의 최신 유행, WLA 교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한국어로는 총체적 교수법이고, 영어로는 Whole, Language, Approach, 입니다.끝의 Approach라는 단어는 Method, Response와 같이 교수법을 뜻하는 단어이고,중요한 것은 whole, Language, 라는 단어들이죠.총체, 언어라는 단어들이 중요한 것입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을 너무 돌아왔다는 생각도 들 수 있습니다.당연히 언어라는 것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다 중요합니다.이 모든 것을 다 골고루 조금씩 배워나가겠다는 것이 이 방법의 핵심입니다. 당연한 말입니다.한국어를 배울 때도 이 모든 것을 다 가르치지 않습니까?지금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명시적.. 2024. 11. 4.
5. TPR 교수법 (전신 반응 교수법) 안녕하세요. 초등 영어 교수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알아보고 있는데, 잘 따라오고 계시는가요? 지금까지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리고 정말 고전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교수법에 대해서만 배웠습니다. 오늘은 조금 다르게, 현대로 넘어와 볼까 합니다.  이전까지 진행되었던 고전 교수법은 학생들의 수준, 특히 어린 학습자들의 수준과 동기, 흥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미성년자, 즉, 초등학생들의 학습 특성 및 동기 부여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학습 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정설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그래서, 그에 발 맞추어 교수법들도 학습자들의 특성과 결부하여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학생들의 특성이라고 하면 구체적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딱 초등학생 하면 떠오.. 2024. 11. 3.
4. ALM 교수법 (청화식) 안녕하세요.오늘도 초등 영어 교수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여러 가지의 교수법들에 대해 이전까지 다루어 왔는데, 어떤 것이 가장 기억에 남으시나요? 오늘은 조금 더 특이한 교수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바로 청화 식 교수법, ALM 교수법입니다.이 교수법이 특이한 이유는, 바로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인, 행동주의 심리학과 결부된 교수법이기 때문입니다.정확히 말하자면, 행동주의 심리학을 언어 교육학에 그대로 적용했을 때,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본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행동주의에 대해서 잠깐 짚고 넘어가 볼까요?행동주의란 뭘까요?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 있겠습니다.심리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그 실험이죠.종을 칠 때.. 2024. 11. 2.
3. DM 교수법 (직접 교수법) 지난 시간에 이어서, 이번에도 초등 영어 교수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저번에는 자연 학습설에 이어, 일제 강점기 때부터 이어오던 문법 번역 교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오늘은 직접 교수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로는 Direct Method라고 한다.우리가 일대일로 보내는 메시지를 Direct Message라고 하듯이, 똑같다. 줄임말은 똑같다. 해석이 다를 뿐. 그 Direct의 뜻은 같다.직접 교수법이라고 하면은 말 그대로 영어는, 영어로 가르치는 것이다.지금까지의 방식은,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다음, 그것을 다시 영어로 내뱉게끔 가르치는 방식이었다.그런데 이런 방식은 힘들기도 하거니와, 이 방식을 통해 영어를 잘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학자들은그래, 괜히 번역해서 돌아가지 말고, 직접.. 2024. 11. 1.